"서울대 졸업하고 뭐하면 좋을까?" 총장이 AI에게 물었다
"갈고닦은 지식과 시간, 남 돕는데 사용하라" 답변 유홍림 총장, 학위수여식서 AI와 대화 소개
유홍림 서울대 총장은 학위수여식을 앞두고 최근 인공지능(AI) 챗봇에게 '서울대생이 졸업 후에 무엇을 하면 좋겠느냐'고 물었다. 그는 "서울대에서 갈고닦은 지식과 시간을 남을 돕는 데 사용하라"는 답변이 인상깊었다고 한다.
유 총장은 24일 관악캠퍼스 체육관에서 열린 전기 학위수여식에 참석해 AI와의 이같은 대화를 소개했다. 그러면서 "우리 삶이 여럿이 함께해야 하는 공동 달리기라는 것을 생각할 때, 인공지능이 던진 이 조언을 결코 가벼이 여기지 말았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서울대 전기 학위수여식이 이날 오후 2시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열렸다. 학사 2천154명, 석사 1천708명, 박사 775명 등 모두 4천637명이 학위를 받았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서울대에서 열린 대면 학위수여식은 지난해 8월에 이어 두 번째다. 서울대는 2019년 8월을 마지막으로 3년 간 온라인으로 학위수여식을 했다.
유 총장은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리더는 삶의 방향을 스스로 결정하고 만들어 갈 수 있는 주도적인 인재"라며 "새로운 출발에 앞서 스스로 돌아보고 그러한 성찰을 통해 '자기 삶의 개척자'가 되라"고 당부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 요동치는 세계 패권 구도, 기후변화 등 시대적 변화는 우리 사회에 혼란과 두려움을 던진다"며 "여러분들은 이 시대를 슬기롭게 헤쳐나갈 수 있는 전환기의 진정한 주인공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3년의 팬데믹 시간은 우리에게 엄청난 충격과 아픔을 줬지만 동시에 지독한 성찰의 기회를 줬다"며 "어렵고 힘든 시기를 이겨낸 경험은 강력한 삶의 백신이 돼 여러분을 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했다.
축사는 지난해 6월 누리호 발사를 성공으로 이끈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이 맡았다. 서울대 항공공학과 85학번인 고 본부장은 1991년 같은 대학에서 항공우주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고 본부장은 "'당신들이 과연 할 수 있는 일이냐'는 외부의 비아냥에 슬퍼하고 분노했던 적도 있었고, 정부출연연구소에서 조직을 이끌며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는 것은 매일 고행하며 참고 견뎌내는 과정이었다"고 떠올렸다.
그러면서 "스스로 목표와 생각이 흔들리지 않아야 많은 성과를 이룰 수 있다. 옳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흔들리지 말고 지켜나가는 꼿꼿한 모습을 보여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고 본부장은 "누리호 개발 같은 큰 사업을 하다 보면 늘 특이한 상황이 발생한다"며 "최악의 상황을 생각해보고 가상의 대처를 해보는 습관을 지니면 실제 어려운 일이 닥쳐도 많이 당황하지 않고 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